Skip to content

ZAN 주식정보

국내증시, 해외증시, 급등주, 낙폭과대, 골든크로스, 상한가, 하한가 등의 주식 정보.

Menu
  • 개인정보 처리방침
Menu
권고사직으로 회사 퇴사시 실업급여

권고사직으로 회사 퇴사시 실업급여 받을 수 있을까?

Posted on 5월 26, 2025

회사가 어려워져 예상치 못한 권고사직을 받게 되셨나요? 갑작스러운 상황에 당황스럽고, 당장 생활에 영향을 줄 실업급여 수급 조건과 절차가 궁금하실 겁니다. 저 또한 비슷한 경험을 통해 권고사직 실업급여 수급 과정을 직접 겪었는데요. 따라서 관련된 내용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
목차

Toggle
  • 1. 권고사직 실업급여 당연히 받을 수 있나요?
  • 2. 실업급여 받기 위한 필수 조건
  • 3. “이직확인서”, 실업급여 수급의 첫 단추
  • 4. 권고사직 실업급여 신청 절차
  • 5. 자진 퇴사 정말 실업급여 받을 방법이 없을까요? (예외적인 경우)
  • 6. 권고사직 실업급여 수급 Tip
  • 자주 묻는 질문
    • 회사에서 자진퇴사로 처리하자는데요?
    • 고용보험 가입 기간은 어디서 확인하나요?
    • 실업급여 신청하면 언제부터 받을 수 있죠?

1. 권고사직 실업급여 당연히 받을 수 있나요?

권고사직은 명백한 비자발적 퇴사로 분류되어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. 실업급여는 자발적인 퇴사가 아닌, 회사의 사정이나 불가피한 이유로 인해 퇴사하게 된 경우 지급되는 제도입니다.

✅ 비자발적 퇴사 vs 자진 퇴사

  • 비자발적 퇴사: 권고사직, 해고, 회사 폐업, 정년퇴직, 계약 기간 만료 후 계약 연장 불가 등
  • 자진 퇴사: 개인적인 사유로 스스로 퇴사하는 경우 (원칙적으로 실업급여 수급 불가)

권고사직은 회사의 권유로 인해 퇴사하는 것이므로, 법적으로 비자발적 퇴사에 해당하며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조건이 충족됩니다.

비자발적 퇴사 사유 실업급여 신청 되나요?

2. 실업급여 받기 위한 필수 조건

권고사직을 받았다고 해서 모든 경우에 실업급여가 지급되는 것은 아닙니다. 다음의 핵심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.

  • 고용보험 가입 기간: 퇴사일 이전 18개월 동안 고용보험 가입 기간이 총 180일 이상이어야 합니다. 이는 실제 근무일(유급휴일 포함) 기준으로 계산됩니다. 여러 회사를 다닌 경우, 해당 기간 동안의 고용보험 가입 기간을 합산합니다.
  • 재취업 의사와 능력: 적극적으로 재취업 활동을 할 의사와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. 단순히 실업 상태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, 새로운 직장을 구하기 위한 노력을 보여주어야 합니다.
  • 취업 거부 사유 부재: 정당한 사유 없이 취업을 거부하는 경우에는 실업급여가 지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
3. “이직확인서”, 실업급여 수급의 첫 단추

실업급여 신청 시 가장 중요한 서류 중 하나가 바로 이직확인서입니다. 이 서류에는 퇴사 사유가 명시되는데, 권고사직으로 인한 비자발적 퇴사임이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어야 합니다.

🚨 이직확인서, 이렇게 확인하세요!

  • 퇴사 시 회사 인사팀에 이직확인서 발급 요청 및 퇴사 사유 확인
  • 퇴사 사유가 ‘권고사직’ 또는 이에 준하는 비자발적 사유 코드로 정확히 기재되었는지 확인
  • 만약 회사에서 ‘자진 퇴사’로 잘못 신고했을 경우, 즉시 정정을 요청하고 관련 증빙 자료(권고사직 관련 통보 등)를 확보

이직확인서 정보가 잘못되면 실업급여 수급에 차질이 생길 수 있으므로, 퇴사 시 꼼꼼하게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권고사직으로 회사 퇴사시 실업급여

4. 권고사직 실업급여 신청 절차

이직확인서가 정상적으로 처리되었다면, 이제 실업급여를 신청할 차례입니다. 신청 절차는 생각보다 간단하며, 온라인 또는 방문 신청 모두 가능합니다.

📝 실업급여 신청 절차:

  1. 고용24 구직 신청: 먼저 워크넷 웹사이트에서 구직 등록을 합니다.
  2. 수급자격 신청: 고용24에서 수급자격 신청서를 작성하고 온라인 교육을 이수합니다.
  3. 고용센터 방문 및 상담: 온라인 신청 후, 지정된 날짜에 신분증을 지참하고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에 방문하여 상담을 받습니다. 이때 이직확인서 등 필요한 서류를 제출합니다.
  4. 구직급여 지급: 수급자격이 인정되면, 이후 정해진 기간 동안 구직활동 내역을 신고하며 실업급여를 지급받게 됩니다.

⏰ 신청 기간: 퇴사일 다음 날부터 12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합니다.

권고사직으로 회사 퇴사시 실업급여-1

5. 자진 퇴사 정말 실업급여 받을 방법이 없을까요? (예외적인 경우)

원칙적으로 자진 퇴사는 실업급여 수급 대상이 아니지만, 다음과 같은 정당한 이직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.

  • 임금 체불, 최저임금 미달 등 근로 조건 악화
  • 직장 내 괴롭힘, 성희롱 등으로 인한 퇴직
  • 사업장 이전, 통근 거리 왕복 3시간 이상 소요 등 불가피한 사유
  • 질병 또는 부상으로 인한 업무 수행 곤란

이러한 사유로 자진 퇴사한 경우에는 고용센터에 객관적인 증빙 자료를 제출하여 정당한 이직 사유를 인정받아야 합니다.

1년 계약직 권고사직 가능한가요? 실업급여는 되나요?

권고사직으로 회사 퇴사시 실업급여-2

6. 권고사직 실업급여 수급 Tip

저 역시 권고사직 후 실업급여를 받는 과정을 직접 경험하면서 몇 가지 중요한 점을 깨달았습니다.

  • 이직확인서의 중요성 재확인: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도 꼼꼼하게 이직확인서를 확인하고, 회사와 적극적으로 소통하여 정확한 퇴사 사유를 명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  • 미리미리 준비하는 것이 유리: 퇴직이 결정되었다면, 실업급여 수급 조건과 절차를 미리 알아보고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. 워크넷과 고용보험 홈페이지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.
  • 고용센터 적극 활용: 궁금한 점이나 어려운 부분이 있다면, 주저하지 말고 고용센터에 문의하여 도움을 받는 것이 효율적입니다. 친절하게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.

권고사직으로 갑작스럽게 실직하게 되면 심리적으로 위축될 수 있지만, 실업급여는 재취업을 위한 소중한 발판이 되어줄 수 있습니다. 미리 준비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한다면, 복잡하게만 느껴졌던 실업급여 수급 과정을 잘 헤쳐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.

자주 묻는 질문

회사에서 자진퇴사로 처리하자는데요?

비자발적 사유로 처리해야 해요.

고용보험 가입 기간은 어디서 확인하나요?

고용보험 웹사이트에서 가능해요.

실업급여 신청하면 언제부터 받을 수 있죠?

신청 후 대기 기간이 있어요.

답글 남기기 응답 취소

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.

©2025 ZAN 주식정보 | Design: Newspaperly WordPress Theme